매포리

연혁

  • 단양군의 북면지역으로 북일면과 북이면으로 나뉘어졌을 때 북일면에 속하였다.
  • 1914년 전국행정구역 조정으로 북일면과 북이면이 합병할 때 창말과 신매를 합해서 매포가 되었다.
  • 1980년 12월 1일 매포면의 인구가 2만 1천명이 되자 읍으로 승격되었다.
  • 1988년 시멘트 분진으로 인한 이주와 1990년 9월 12일 충주댐 만수위 145m 초과담수로 인한 역류현상
    으로 매포리가 완전 물에 잠김으로 인하여 매포 1 · 2 · 3리가 평동으로 이주하였다.

특성

  • 평야는 적고 산이 많은 곳이며, 매포천이 안동에서 흘러내려 하괴로 흘러간다.
  • 전형적인 석회암지대라 석회암이 풍부한 관계로 시멘트를 생산하여 중앙선 철도를 이용해 전국으로 운송하고 있다.
  • 동쪽은 가곡면 여천리, 서쪽은 매포읍 평동리, 남쪽은 매포읍 하괴리, 북쪽은 매포읍 안동리이다.
  • 도담역은 중앙선 철도 승하차 역으로 성신과 한일의 시멘트 수송역할을 하고 있다.
  • 마산~중강진의 5번 국도가 지나다가 1996년도 노선변경으로 국도가 이설되었다.
  • 시멘트 산업의 발전으로 인근의 농경지 모두가 공장 부지로 흡수되었으며 1990년 수해로 마을이 전폐되었다.

산천및지명유래

  • 어리이재 : 해발 405m의 산 아래를 넘어서 덕천 쪽으로 가며, 영춘 · 가곡 사람들과 상인들이 통행하던 옛날 큰길이다.
  • 자살고개 : 장터와 우덕 사이에 있는 고개로 전에 어떤 사람이 목을 메어 자살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. 철길이 나고 옛 도담 학교가 있어 고개로서의 개념이 없어졌다.
  • 작살고개 : 단봉산은 명산인 금수산의 줄기에서 뻗어 내려와 매포읍 매포리 맥을 형성하는데 기러기가 날아가는 형상을 하고 있어 기러기봉 또는 안봉이라 한다. 날개 치는 기러기 형상의 단봉산을 두고 많은 인재가 날 것이라 하여 풍수가들 사이에 갑론을박이 많았다.
    임진왜란 때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압록강을 건너서 평양 · 서울을 거쳐 안동으로 향하던 중 단양 땅을 지날 때에 단봉산의 “기러기 날개 치는 형상”을 보고 군사의 행군을 멈추게 하고 관상감으로 하여금 기러기 날개 부분을 찾도록 명하여, 가지고 있던 작살을 기러기 날개 밑에 꽂아 지혈을 끊어서 나라의 큰 인물이 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하였다.
    또한 후일에 누구라도 작살을 뽑지 못하도록 작살의 쇠만 꽂고 자루는 감추었다고 한다. 지금은 마을이 공해 보상 · 수해피해 보상 등으로 모두 안동리로 이주하였으나 1990년도까지는 매포읍의 소재지로 마을이 컸다.
    단풍모랭이와 도담초등학교가 있고 성신화학이 있어 번창하더니 이제는 수해의 흔적만이 남아있고 학교는 석회석신소재연구소로 탈바꿈했으며 또 성신양회 철길과 중앙선 철길이 나서 이미 맥은 끊겼으므로 매포의 생명을 다하여 읍이 안동으로 옮겨갔다고 지적하는 풍수가들도 있다. 작살고개도 없어지고 마을도 없어졌는데 작살이 없어졌는지는 아무도 모른다.
  • 솔미산 : 객산. 객지에서 온 사람은 돈 벌면 떠야한다 또는 손님같이 왔다가 빨리 떠야 한다는 데서 객산으로도 유래됨. 쇠곳이 많이 있었고 산봉우리에 물이 났었으나 시멘트 원석 채취로 물줄기가 없어졌다.
  • 단풍산 : 丹楓山. 단풍모랭이. 새말 북쪽에 위치하며 단풍나무가 많았다.
  • 마하모랭이 : 마하(馬下)모랭이. 매화모랭이. 단풍산을 걸어 내리지 않고 말을 타면 아무리 채찍을 가해도 움직이지 않음으로 다시 돌아가 걸었다 하여 마하모랭이라고 한다.
  • 구마이들 : 구만사란 절이 있었으나 없어지고 기왓장과 금부처가 들판에서 출토되었다.
  • 애기봉 : 163m. 작지만 명산으로 묘를 쓰면 동네 개가 짖어서 쓸 수가 없었다.
  • 연등골 : 옛날이 절이 있었으나 없어졌고 절의 옛 연못이 있었다.
  • 남생이소 : 새말 동쪽의 소로 남생이가 많이 살았다.
  • 매질포 : 매포의 옛 지명으로 한강의 3포 중 하나. 서울의 마포, 여주 · 이천의 이포, 단양의 매포를 삼포라 함. 소금배의 정박지이자 뗏목 뱃사공의 쉼터였다.
  • 매포들 : 현재의 창말 쪽과 성신화학 자리의 논을 말함.
  • 새말 : 신매. 새로이 조성된 마을로 장터 남쪽을 가리킨다.
  • 아랫말 : 새말의 아래쪽 하괴의 자연 마을.
  • 창말 : 옛날 군의 곡식 보관 창고가 있었다 하여 창말이라 함.
    북일면 북이면 지역의 세금을 징수하여 수로로 운반하기 위해 설립 운영되던 창고이다.
  • 매포느티나무 : 매포읍사무소 위치. 수령 300년, 둘레 5m, 수고 25m. 본래 성황당 옆에 성황 여신과 음양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뾰족한 수나무를 심었던 것으로 매포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.
  • 마방터 : 옛날 경상도 사람들이 말을 매고서 주막에서 쉬어가기 위해 말의 먹이를 장만하던 지역.
  • 매화낙지 : 옛날이야기에 매화낙지(梅花落地) 명당자리가 있다 하여 많은 풍수가들이 찾아왔으나 아직도 찾지 못하고 있다. 토정 이지함 선생이 구담봉에 은거하면서 매포를 지날 때 갑자기 안개가 끼여 앞이 안보임에, “이곳에 필시 명당자리가 있는데 나 같은 사람은 아직도 이런 성지를 볼 수 없구나“하고 반성하고 세옹밥을 지어 치성을 드리니 안개가 걷혔다 하고, 그 때 어룡지하(魚龍之下) 십수지내(十水之內) 란 말을 남겼는데, 풀이하면 매포천과 남한강이 합치는 곳에 깎아지른 암벽과 절벽이 병풍처럼 둘러 있으니 그 아래가 어룡지하요, 두 강물이 합쳐 물의 모양이 열십자와 같으니 십수지내다. 매화낙지 혈을 잡으면 금시 발복하여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했고 또 일설은 3대가 걸인이 된다고도 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