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잠리

연혁

  • 1912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령리(新令里)를 병합 봉화면(鳳化面)에 편입되었다.
  • 1917년 봉화면(鳳化面)이 단양면(丹陽面)으로 개명됨에 따라 단양면 관할이었다.
  • 1979년 단양면(丹陽面)의 읍(邑)승격으로 단양읍(丹陽邑)에 편입되었다.
  • 1985년 충주(忠州)댐 완공으로 읍소재지가 이전함에 따라 구단양출장소 소속이 되었다가
    1992년 단성면(丹城面) 승격으로 단성면(丹城面) 관할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.

특성

  • 본래 단양군 서면(西面) 지역으로 덕절산(德節山) 밑이 되므로 한점, 또는 대잠(大岑)이라 하였다.
  • 기암괴석 대소군봉(大小郡峯) 두악산 기슭에 삼선구곡(三仙九曲) 흰바위 마당을 불암(佛岩)이라 부르던 것을 조선 성종 때 임제광이 선암(仙岩)이라 개칭하였다.
  • 두악산 정상에 소금 항아리 묻으니 단양에 화재가 일지 않아 소금무지산이라 칭하였다.
  • 무자(無子) 부인이 목욕재계 후 소금과 한강물을 항아리에 넣어 기도하니 득남하였다는 전설이 있다.

산천및지명유래

  • 가실골 : 시영내 마을 서쪽에 있는 골짜기.
  • 덕절산(德節山) : 대잠리와 대강면 괴평리 경계에 있는 산. 높이 780m.
  • 뚝다리골 : 소선암에 있는 골짜기.
  • 뒷들재 : 대잠리 동북쪽에 있는 고개. 북하리 뒷들로 가는 고개임.
  • 보름재 : 대잠리에서 상방리로 가는 고개.
  • 잉경골재 : 잉경골에서 시영내로 가는 고개.
  • 장등산(長嶝山) : 대잠리에서 북하리로 넘어가는 산등성.
    군자감판관(軍資監判官) 벼슬을 역임한 장여의(張汝義)의 묘소가 자리 잡고 있다.
  • 큰골 : 대잠리에서 북상리로 넘어가는 골짜기.
  • 화재골 : 대잠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.
  • 화치(花峙) : 대잠리 앞쪽에서 가산리로 넘어가는 고개.
    가선대부 장필과 가선대부 장후진의 묘소가 있다.
  • 골안들 : 대잠리 복판에 있는 마을.
  • 뒷들 : 뒷들재 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.
  • 물건너들 : 소선암에서 대잠리로 가는 냇가에 있는 들판.
  • 시영내 : 대잠리 북쪽에 있는 마을. 맑은 냇가에 위치하고 있음.
  • 앞들 : 시영내 마을 앞에 있는 들판.
  • 잉경골 : 시영내 동북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. 일명 앵쟁골.
  • 큰들 : 시영대 동북쪽에 있는 큰 들판.
  • 한점 : 대잠리의 다른 이름.
  • 냉천약수 : 소선암 못 미처 있는 약수. 물량이 풍부하고 맛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이용함.
  • 무당바우 : 대잠 마을 앞 냇가의 바위. 옛날 무당이 사용하던 기구들을 숨겨 놓았다함.
  • 번대바우 : 대잠리 동쪽에 있는 바위. 늘 습기가 많아 번들번들함.
  • 북바우 : 하선암 서남쪽에 있는 바위. 북처럼 생겼음.
  • 불암(佛岩) : 하선암의 원래 이름.
  • 하선암(下仙岩) : 불암(佛岩), 선암(仙岩), 무지개 바우 등으로 불림. 단양 8경의 하나.
    대잠리 서쪽, 중선암 하류 약 4km 지점인 선유동(仙遊洞) 상류에 있는 바위.
    백여 평이 되는 희고 넓은 바위 위에 큰 바위가 서로 머리를 맞대고 있는 형국이다.
    본래 불암이라 하였는데 성종 때 단양군수 임제광이 선암으로 고쳤다 한다.
  • 소선암 공원 : 대잠리 입구 시냇가에 조성한 공원.
  • 홍암교(虹岩橋) : 하선암 위쪽에 있는 다리.
  • 장여의 묘(張汝義墓) : 본관 단양. 청계공 하(夏)의 11세손. 언룡(彦龍)의 아들.
    선조 15년(1583) 태어났으며, 벼슬은 군자감판관(軍資監判官).
  • 장필 묘(張墓) : 장여의의 아들. 인조 13년(1635)태어나 숙종 20년(1694) 죽다. 벼슬은 가선대부.
  • 장후진 묘(張後晉墓) : 장필의 아들. 효종 5년(1654)태어나 숙종 44년(1718)죽다. 벼슬은 가선대부.